부동산등기의 개념 및 종류
페이지 정보
작성자 w.master 댓글 0건 조회 808회 작성일 22-01-26 11:37본문
부동산등기의 개념 및 종류
부동산등기의 개념
부동산등기의 개념
부동산 및 부동산물권의 개념


부동산등기의 효력
권리변동적 효력

대항력
순위확정적 효력
권리추정적 효력
부동산등기의 종류
가등기와 본등기



본등기 중 소유권에 관한 등기




√ 매매, 증여, 사인증여, 재산분할, 양도담보, 교환, 계약의 해제, 현물출자, 대물변제 등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 이전등기

√ 「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」에 의한 토지 등의 수용, 「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」에 의한 유동화자산의 양도 등의 설정, 상속, 판결, 경매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 이전등기
본등기 중 소유권 외의 권리에 관한 등기

√ 설정등기: 지상권을 설정하는 등기
√ 변경등기: 지상권 설정의 목적(공작물 또는 수목), 존속기간, 지료, 지료의 지급시기 등을 변경할 경우에 하는 등기
√ 말소등기: 존속기간의 만료, 혼동(「민법」 제191조), 소멸시효의 완성(「민법」 제162조제2항), 선순위 담보권의 실행으로 인한 경매, 당사자 간의 약정소멸사유 발생(「부동산등기법」 제54조), 지상권 설정자의 소멸청구(「민법」 제287조) 등으로 지상권이 소멸한 경우에 하는 등기
'법재처 생활법령정보'에서 더 자세한 내용을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.
상단의 링크를 클릭하시길 바랍니다.
자료 : 법재처 / 생활법령정보
관련링크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